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구문과 의미
- 배열 최솟값
- 자바스크립트의 특징
- ES6 브라우저 지원 현황
- Math.min
- 가우스의 공식
- 삼항연산자
- 프로그래머스
- .split()
- 어려운데ㅠㅠ
- 자바스크립트와 ECMAScript
- 소름돋는 알고리즘
- 자바스크립트의 탄생배경
- Promise.all()
- array.reduce()
- JavaScript
- 프로그래머스 공원 산책
- async-await
- 행렬...
- Ajax란?
- .map()
- a && b
- 알고리즘
- 소오름~
- for문
- arr.push()
- 자바스크립트
- 프로그래밍이란
- !x.includes()
- for반복문
Archives
- Today
- Total
Ming's develop story
Chapter3 - keyframes 본문
keyframes 사용하기
keyframes는 styled-components안에 이미 들어있다!
웹에서 애니메이션을 구현할때는 transition과 animation이라는 스타일 속성을 많이 사용한다.
transition은 단순한 엘리먼트 상태변화에 쓰기 좋고, animation은 다이나믹한 효과를 주는데 쓰기 좋다!
Keyframes은 animation에서 사용하는 속성 중 하나이다!
App.js
import styled, { keyframes } from "styled-components";
function App() {
return (
<div className="App">
<Box></Box>
</div>
);
}
const boxAnimation = keyframes`
0% {
border-radius: 0px;
top: 20px;
}
30%{
top: 300px;
}
50%{
border-radius: 50px;
top: 700px;
}
100%{
border-radius: 0px;
top: 20px;
}
`;
const Box = styled.div`
width: 100px;
height: 100px;
background: green;
border-radius: 50px;
position: absolute;
top: 20px;
left: 20px;
animation: ${boxAnimation} 2s 1s infinite linear alternate;
`;
export default App;
|
stlyed-components를 활용해 네모 박스를 만들어준 뒤 동그라미로 바꿔준다.
이후 keyframes를 활용해 위아래로 움직이며 네모와 동그라미로 계속 바뀌도록 만들어 보자!
주의할점! const는 선언해 준 뒤부터 사용 가능한 특성 때문에 keyframes는 styled-components보다 먼저의 위치에 있어야 한다.
'스파르타코딩클럽 - 항해99 > 항해99 Chapter3 - react 주특기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3 - 스크롤바 움직이기 (0) | 2021.11.25 |
---|---|
Chapter3 - 버킷리스트에 프로그래스바 달아주기*** (0) | 2021.11.25 |
Chapter3 - 점수화면 만들기 (3주차) (0) | 2021.11.25 |
Chapter3 - 버킷리스트의 데이터를 삭제해보자 (Quiz) (0) | 2021.11.23 |
Chapter3 - 컴포넌트에서 리덕트 데이터 사용 및 상세페이지와 연결 (0) | 2021.11.23 |
Comments